서울 한강 선유도공원 가는법, 주차장, 입장료 안내
서울 한강 선유도공원 가는법, 주차장, 입장료 안내
서울 영등포구 선유로에 위치한 선유도공원은 과거 선유정수장 건물을 자연과 공유할 수 있도록 최소한으로 개조한 후 문을 연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재생 생태공원입니다. 선유봉이라는 작은 언덕이 있어 신선들이 유람하며 즐겼다는 한강 위의 섬 선유도는 이제 색다른 서울의 명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1965년 양화대교가 개통되고 1968년 본격적인 한강 개발이 시작되면서 선유도는 섬이 되었습니다. 1978년에는 선유도 정수장이 신설되었습니다. 2000년 선유도 정수장이 폐쇄된 뒤, 물을 주제로 한 공원으로 만들기로 하고 산업화의 증거물인 정수장 건축 시설물을 재활용하여 녹색 기둥의 정원, 시간의 정원, 물을 주제로 한 수질정화원, 수생식물원 등을 만들었습니다. 2002년 4월 26일, 선유도근린공원으로 문을 열면서 시민들에게 개방되었습니다(출처 서울의 산과 공원 선유도그린공원) 오늘 시간에는 서울 한강 선유도공원 가는법 및 주차장, 입장료, 이용시간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유도공원 위치안내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 343(당산동 1)
전화 : 02-2631-9368
이용시간 : 06:00~24:00
입장료 : 무료
선유도공원 주요시설
녹색기둥의 정원
정수지의 콘크리트 상판 지붕을 들어내고 기둥만 남긴 정원담쟁이로 뒤덮인 기둥이 공간에 고요함과 질서를 부여하여 사색과 휴식의 공간을 연출했습니다.
수생식물원
여과지를 재활용한 수생식물원은 낮은 수반에 자리잡은 다양한 수생식물원의 모습과 생장과정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시간의 정원
약품침전지를 재활용하여 다양한 식물의 세계를 꾸민 공간, 방향원, 덩굴원, 식채원, 소리의 정원, 이끼원, 고사리원, 푸른 숲의 정원, 초력벽의 정원 등 작은 주제정원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온실
선유도에는 200여 종의 대부분 자생종인 다양한 식물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식물들을 육묘, 번식시키고, 일년초의 조기파종, 노지에서 월동이 불가능한 식물의 보호 등 효과적인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온실이 필요합니다.
수질정화원
약품친전지의 구조물을 재활용한 수질정화원의 각 수조에는 물속의 질속, 인 등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여러 수생식물의 생장과 정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선유도공원 이용시 제한사항
- 자전거, 킥보드, 인라인스케이트, 스마트모빌리티(전동휠) 등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 텐트, 그늘막 설치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 드론의 비행 및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 촬영장비 반입 시 공원관리사무소와 사전에 유선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지미집, 레일 등 대형장비 설치 불가)
선유도공원 주차장안내
양화한강공원 주차장 이용
- 일요일 공휴일 무료, 기본 30분 1.000원, 추가 10분당 200원,
1일 주차 10.000원
주차장 이용시간
4월~10월 : 09:00~23:00
11월~3월 : 09:00~21:00
주차장 문의안내 : 02-3780-0581
선유도그린공원 주차장 : 장애인 주차 6대 가능
일반인 양화한강공원 주차장 이용
※ 선유도공원 주차장은 장애인 차량 6대 주차가능합니다.
※ 일반인은 양화 한강공원에 주차를 하시고 도보로 이동하십니다.
양화1주차장(당산철교 밑)
주소 : 영등포구 당산동 95-1
주차구획수 : 88
양화2주차장(전망카페)
주소 : 영등포구 당산동 95-1
주차구획수 : 20
양화3주차장(씨앤한강래드 앞)
주소 : 영등포구 양화동 26-8
주차구획수 : 223
양화4주차장(선착장 앞1)
주소 : 영등포구 양화동 1-1
주차구획수 : 100
양화5주차장(선착장 앞2)
주소 : 영등포구 양화동 1-1
주차구획수 : 70
서울 한강 선유도공원 가는법
지하철 이용시 : 당산역 또는 선유도역에서 하차 후 도보이동
버스 이용시 : 603.760.5714
※ 네비게이션 이용시 "양화선착장" 검색
이상 서울 한강 선유도공원 가는법 및 주차장, 입장료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랑하는 가족, 연인, 친구와 소중한 추억만드시기 바랍니다.